각 나라별 커피 특징 4.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각 나라별 특징.
1. 브라질
브라질 커피의 품질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커피에 따라 매우 다른 향미 특성을 갖고 있다. 신맛이 적고 비교적 중성적인 맛을 주어 순한 커피로 평가되는 브라질의 아라비카는 블렌딩에 이상적인 기초라는 평가를 얻고 있다. 그래서 핸드 드립용 배합은 물론이고 에스프레소 배합에도 많이 쓰인다. 하지만 강한 맛의 커피는 북아프리카와 중동 그리고 동유럽 일부로만 들어간다. 800~1100미터 고지의 대농원에서 재배해 습식으로 정제한 커피의 일부는 스페설티 커피로 만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바아아, 산토스, 미나스, 노브레, 세하도 등의 이름을 갖는다.균형이 괜찮은 커피로 아침에 마시기에 좋다. 브라질의 커피는 신선할 때 최성의 향미를 준다. 브라질의 생두들은 대부분 밀도가 떨어져 1년 이싱이 지나면 그 단맛을 잃는다. 워낙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어 지역에 따라 품종도 다양하다. 아라비카 종과 로부스타 종 모두 생산한다. 생산량의 75%가 아라비카 중에서 문도노보가 37%, 카투아이 26%, 아카이이 24%, 루비 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 부르봉, 피베리 등의 품종을 재배한다. 전 세계 커피의 약 30%를 생산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커피 생산국이다. 생산량에도 돋보이지만 질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생산지이다. 굉장히 넓은 지역에서 만은 양을 생산하기 때문에 커피의 향미와 가격이 매우 다양하다. 그래서 생두 선택에 주의가 필요하기도 하다. 브라질에 언제 어떤 상황에서 커피가 도입되었는지 확실히 말할 수는 없지만, 처음으로 재배가 시작된 시기는 공식적으로 1726년이다. 1926년에 200주념을 기념해 커피축제 카페이로를 연 것이 그 증거다. 18세기 중반부터 커피 생산이 늘어났고 중동부와 남부지방에 걸쳐 폭넓게 재배되고 있다. 1960년대 초 남부 파라나 주가 중요한 커피 생산지가 되면서 산토스 향이 커피 선적항으로 명성을 떨치기 시작했고, 지금도 일부 커피는 산토스라는 이름으로 거래된다. 1970년대 후반부터 미나스 제라이스주 또한 중요 재배 지역이 되었다. 생산량 중 자국에서 소비되는 커피의 비중 역시 높은 나라에 속한다. 2003년 기준으로 생산국들의 자국 소비량 평균은 약 24%인데, 브라질의 커피 자국 소비량은 36%에 이른다. 수확량이 많은 만큼 수확 방법이 다양하다. 훑어 따기와 가려 따기를 두루 쓰고 있다. 아라비카 종의 주 수확기는 6~10월이고 로부스타 종은 4~6월 주 수확기다. 가공 방법 역시 지역이나 농장에 따라서 다양하다. 자연건조 방법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브자질 내추럴이 브라질의 대표적인 커피이지만, 습식으로 가공하는 커피도 있다.
2.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아라비카 종이 전체 커피 생산의 약 52%, 로부스타 종이 약 48%를 차지하고 있다. 안테스 산맥의 고지대에 위치한 농장들이 유기농으로 생산한 스페셜티 등급의 커피들은 다소 무거우면서 맛이 조화롭고 아로마 또한 좋다.
갈라파고스 커피는 원산지 증명 커피로 희소성 때문에도 그렇지만 아주 좋은 신맛과 묵직하고 좋은 바디를 갖추고 있으며 균형미도 좋다.
에콰도르 커피는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이 주 고객이지만 커피 애호가라면 누구나 꼭 한번 마셔보고 싶어 하는 커피다.
에콰도르 커피와 카카오 생산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 유기농 재배를 권장하고 있다. 에콰도르는 브라질처럼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종을 모두 생산한다. 아라비카가 약 52%, 로부스타가 약 48% 정도이다. 아라비카 커피는 이 날의 남쪽까지 뻗어 있는 안데스 산맥의 고원 지대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재배한 것이 가장 좋은커피다.
태평양 먼 바다에 떠 있는 갈라파고스 제도는 1835년 찰스 다윈이 탐험한 후 널리 알려졌고 현재 야외 생물진화의 실험장으로 불리는 곳으로 섬 전체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화학비료, 살충제, 제초제의 반입이 아예 금지되어 있다.
갈라파고스 제도의 커피 재배는 1875년 에콰도르의 마누엘 제이 코보스가 주도인 산크리스토빌섬에 부르봉을 옮겨 심으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00헥타르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재배되던 커피는 제값을 받지 못하면서 경작 면적이 줄어들었고 한동안 정책적으로 커피 경작지를 제한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시 조금씩 커피 경작이 늘어나고 있다. 경작지의 자연 조건은 최상이다. 500만 년 전에 일어난 화산 폭발로 토양이 좋은 데다 산간 호수에서 흘러나온 미네랄이 풍부한 물이 커피 제배지의 비탈길로 흘러들어 그 토양을 더욱 비옥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섬 주변에 홈볼트 해류가 흐르고 있어, 커피 경작지의 고도는 해발 300미터에 미치지못하지만 본토의 약 1,000~1,800미터 고지와 비슷한 이상적인 기후이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